BTT/KRW 차트 절차적 분석 보고서
올려주신 60분·240분·일봉 스크린샷을 근거로 가격 구조 → 수급/거래량 → 변동성(ATR·밴드) → 모멘텀(MFI·RSI) → 핵심 레벨 → 시나리오/전략 → 체크리스트 순으로 단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1) 가격 구조(추세·형태)
- 일봉
- 가격이 중장기 이동평균(60·120) 아래에서 옆걸음. 중기 하락 속 단기 반등이 힘이 빠진 “좁은 박스 정체”입니다.
최근 종가가 0.000854~0.000862 사이에 밀집. 상단으로 갈수록 윗꼬리, 하단은 꼬리로 방어되는 ‘공방’ 구간입니다.
240분
- 0.0008540 근처 저점대를 반복 터치하며 바닥 확인 시도. 다만 반등 고점이 낮아지는 하락 채널 상단에서 재차 눌림.
단기 이동평균들이 가격 위로 덮여 있어 0.000860대 위 종가 안착이 쉽지 않은 모습입니다.
60분
- 0.000858 전후에서 미세 박스(대략 0.000854~0.000862) 진행. 상단 터치 후 바로 되밀리고 하단에서는 꼬리로 지지 확인이 반복됩니다.
요약: 전 타임프레임 공통으로 “지지 위 횡보”지만, 위에는 촘촘한 저항이 겹쳐 돌파 신뢰도가 낮습니다.
2) 수급/거래량
- 60분
- 박스 상단 접근 때 거래량이 늘지 않고, 하락 캔들에서 상대적으로 체결이 두터움. 매도 우위 패턴.
- 240분
- 중간중간 거래량 스파이크는 있으나 연속성 부족. 추세 전환을 뒷받침할 ‘두 번째 확증 스파이크’ 미흡.
- 일봉
- 대형 스파이크 이후 지속 유입 약화. 수급 결집이 부족합니다.
해석: 상단 돌파를 신뢰하려면 “연속된 거래량 확장(2봉 이상)”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3) 변동성(ATR)·볼린저 밴드
- ATR
- 일봉·240분 모두 하락 추세로 변동성 축소. 큰 방향성 폭발 전의 ‘대기’ 국면.
- 볼린저 밴드
- 60분 상단 접근 후 중심선 아래로 재진입하는 빈도 증가. 보통 중심선 이하 체류가 길어지면 하단 밴드 재시험 확률이 높아집니다.
전략적 함의: 축소된 변동성에서의 추격은 비효율. “확인 후 진입” 또는 “하단 반전 시 짧게” 접근이 유리합니다.
4) 모멘텀(MFI·RSI)
- 60분: MFI 41대, RSI 45~46대. 중립 하단으로 약세 우위. 단기 반등 탄성은 약함.
- 240분: MFI 46대, RSI 46대. 50선 아래에서 눌림. 모멘텀 전환 미확정.
- 일봉: MFI가 79대 고평에 근접하나 가격은 횡보. 자금흐름 대비 가격 비탄력(약한 디버전스) 가능성. RSI 44대 중반으로 약세→중립.
결론: 단·중기 모멘텀 모두 상방 신뢰가 낮고, 상단 저항에서 힘이 빠지는 구조입니다.
5) 핵심 가격 레벨 맵
6) 시나리오별 전략
7) 실시간 체크리스트
- 가격: 0.000868 돌파-안착 vs 0.000854 이탈 여부를 최우선 모니터
- 거래량: 돌파 봉과 다음 봉 모두 20봉 평균 대비 ≥140%인지
- 모멘텀: 240분 RSI 50 상회, 60분 RSI 55 회복 시 상방 신뢰 상승
- 밴드/변동성: 60분 밴드 중심선 위 체류 시간 증가 시 단기 상방, 하단 밴드 재터치 시 저가 매수보다 반전 신호 확인 우선
결론
- 현재는 “상단 저항 코앞의 좁은 박스 횡보”로, 수급·모멘텀 신뢰도가 낮습니다.
- 안전한 진입은 0.000868 상방 확인 후 눌림 매수이며, 0.000854 이탈 시 하락 확장 시나리오에 대비한 방어가 필요합니다.
- 단타는 박스 상·하단에서만 신호 기반으로 짧게 대응하시고, 거래량 없는 돌파는 경계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