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

bttcoin 25.10.10

neoniki1234 - 2025-10-10 00:49:57

BTT/KRW 차트 절차적 분석 보고서


올려주신 60분·240분·일봉 스크린샷을 근거로 가격 구조 → 수급/거래량 → 변동성(ATR·밴드) → 모멘텀(MFI·RSI) → 핵심 레벨 → 시나리오/전략 → 체크리스트 순으로 단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1) 가격 구조(추세·형태)



  • 일봉

  • 가격이 중장기 이동평균(60·120) 아래에서 옆걸음. 중기 하락 속 단기 반등이 힘이 빠진 “좁은 박스 정체”입니다.


  • 최근 종가가 0.000854~0.000862 사이에 밀집. 상단으로 갈수록 윗꼬리, 하단은 꼬리로 방어되는 ‘공방’ 구간입니다.




  • 240분



  • 0.0008540 근처 저점대를 반복 터치하며 바닥 확인 시도. 다만 반등 고점이 낮아지는 하락 채널 상단에서 재차 눌림.


  • 단기 이동평균들이 가격 위로 덮여 있어 0.000860대 위 종가 안착이 쉽지 않은 모습입니다.




  • 60분



  • 0.000858 전후에서 미세 박스(대략 0.000854~0.000862) 진행. 상단 터치 후 바로 되밀리고 하단에서는 꼬리로 지지 확인이 반복됩니다.


요약: 전 타임프레임 공통으로 “지지 위 횡보”지만, 위에는 촘촘한 저항이 겹쳐 돌파 신뢰도가 낮습니다.




2) 수급/거래량



  • 60분

  • 박스 상단 접근 때 거래량이 늘지 않고, 하락 캔들에서 상대적으로 체결이 두터움. 매도 우위 패턴.

  • 240분

  • 중간중간 거래량 스파이크는 있으나 연속성 부족. 추세 전환을 뒷받침할 ‘두 번째 확증 스파이크’ 미흡.

  • 일봉

  • 대형 스파이크 이후 지속 유입 약화. 수급 결집이 부족합니다.


해석: 상단 돌파를 신뢰하려면 “연속된 거래량 확장(2봉 이상)”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3) 변동성(ATR)·볼린저 밴드



  • ATR

  • 일봉·240분 모두 하락 추세로 변동성 축소. 큰 방향성 폭발 전의 ‘대기’ 국면.

  • 볼린저 밴드

  • 60분 상단 접근 후 중심선 아래로 재진입하는 빈도 증가. 보통 중심선 이하 체류가 길어지면 하단 밴드 재시험 확률이 높아집니다.


전략적 함의: 축소된 변동성에서의 추격은 비효율. “확인 후 진입” 또는 “하단 반전 시 짧게” 접근이 유리합니다.




4) 모멘텀(MFI·RSI)



  • 60분: MFI 41대, RSI 45~46대. 중립 하단으로 약세 우위. 단기 반등 탄성은 약함.

  • 240분: MFI 46대, RSI 46대. 50선 아래에서 눌림. 모멘텀 전환 미확정.

  • 일봉: MFI가 79대 고평에 근접하나 가격은 횡보. 자금흐름 대비 가격 비탄력(약한 디버전스) 가능성. RSI 44대 중반으로 약세→중립.


결론: 단·중기 모멘텀 모두 상방 신뢰가 낮고, 상단 저항에서 힘이 빠지는 구조입니다.




5) 핵심 가격 레벨 맵



  • 지지

  • 1차: 0.000856(현재가 인근 박스 중심/하단 경계)

  • 2차: 0.000854(최근 분봉 저점대)


  • 3차: 0.000850(이탈 시 하락 확장 경계)




  • 저항



  • 1차: 0.000860~0.000862(단기선 밀집)

  • 2차: 0.000868~0.000872(직전 상단·채널 상단)


  • 3차: 0.000875~0.000880(돌파 시 단기 추세 전환 신호 강화)




  • 무효화 트리거



  • 상방 유효화: 0.000868 이상 60분 2봉 연속 종가 안착 + 거래량 20봉 평균 대비 ≥140%

  • 반등 무효화: 0.000854 일괄 종가 이탈(스치기 아님)




6) 시나리오별 전략



  • A. 보수적 매수(돌파 확인형)

  • 조건: 0.000868 상향 돌파 후 60분 2봉 종가 안착, 거래량 확장 동반

  • 진입: 0.000866~0.000868 눌림 재확인에서 분할

  • 손절: 0.000861 종가 이탈

  • 목표: 0.000875 1차, 0.000880 2차


  • 논리: 가짜 돌파 회피, 추세 연장만 취득




  • B. 공세적 매수(하단 반전 단타)



  • 조건: 0.000854~0.000856 테스트 시 아래꼬리 반전 + 체결량 증가

  • 진입: 0.000855~0.000856

  • 손절: 0.000851

  • 목표: 0.000862 1차, 0.000868 2차


  • 유의: 박스 붕괴 시 즉시 손절. 손익비 1:1.5 이상 확보 전제




  • C. 추세 추종 매도(리테스트 실패형)



  • 조건: 0.000854 종가 이탈 또는 0.000860 회복 실패 후 0.000856 재이탈

  • 진입: 0.000855~0.000856 리테스트 실패 확인

  • 손절: 0.000861 상회


  • 목표: 0.000850 1차, 0.000846~0.000847 2차




  • 리스크/포지션 관리



  • 1회 손실은 계좌의 0.5~1.0% 내로 제한

  • 분할 진입·분할 청산 2~3회

  • 60분 RSI가 50 아래에서 머무는 동안은 이익 실현을 우선하고, 수익 포지션은 직전 저점 기준 트레일링 스탑 적용




7) 실시간 체크리스트



  • 가격: 0.000868 돌파-안착 vs 0.000854 이탈 여부를 최우선 모니터

  • 거래량: 돌파 봉과 다음 봉 모두 20봉 평균 대비 ≥140%인지

  • 모멘텀: 240분 RSI 50 상회, 60분 RSI 55 회복 시 상방 신뢰 상승

  • 밴드/변동성: 60분 밴드 중심선 위 체류 시간 증가 시 단기 상방, 하단 밴드 재터치 시 저가 매수보다 반전 신호 확인 우선




결론



  • 현재는 “상단 저항 코앞의 좁은 박스 횡보”로, 수급·모멘텀 신뢰도가 낮습니다.

  • 안전한 진입은 0.000868 상방 확인 후 눌림 매수이며, 0.000854 이탈 시 하락 확장 시나리오에 대비한 방어가 필요합니다.

  • 단타는 박스 상·하단에서만 신호 기반으로 짧게 대응하시고, 거래량 없는 돌파는 경계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