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

bttcoin 25.10.7

neoniki1234 - 2025-10-07 00:47:09

BTT/KRW 차트 단계별 분석 보고서


아래 분석은 시온님이 올려주신 3개 타임프레임(60분, 240분, 일봉) 스크린샷을 바탕으로, 동일 구간에서의 가격·수급·변동성·모멘텀을 절차적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도구는 차트에 표시된 이동평균선(단순), 볼린저 밴드, MFI, RSI, ATR, 거래량을 기준으로 해석했습니다.




1) 시장 구조 파악: 추세·구간



  • 일봉

  • 중장기 이동평균이 가격 위에 포개져 있고, 최근 반등에도 여전히 장기선(예: 60·120선) 아래. 중기 하락 추세 속 단기 반등 국면으로 보입니다.

  • 수평 지지/저항: 0.000855~0.000870 구간이 반복 테스트된 지지/저항 전환대. 현재가는 이 밴드 상단/돌파 시도 구간에 위치.


  • 볼린저 밴드 하단 이탈 후 되돌림으로 하단→중심선 방향 회복 시도. 아직 상단 밴드까지 여유.




  • 240분



  • 가격이 장기선(120)과 수렴하며 박스 상단을 미세 돌파/재돌파 시도. 구조상 “수렴→이탈” 전초 단계로 보이나, 확증은 거래량 동반 돌파 필요.


  • 추세는 완만한 저점 높임 시도이나, 고점도 낮아지는 구간이 섞인 불안정한 삼각 수렴 성격.




  • 60분



  • 단기선 배열이 상향 정렬에 근접. 캔들 상단 삽화형 돌출 후 바로 눌림이 나와, 단기 과열 해소 과정.

  • 박스 상단(대략 0.000870 부근) 위에서 안착 시 단기 모멘텀 재점화 가능.


요약: 중기 하락 속 단기 반등·수렴 단계. 핵심 전환 레벨은 0.000870 안착 여부입니다.




2) 수급/거래량



  • 일봉 거래량 스파이크가 최근에 한 차례 크게 발생했으나, 연속성은 제한적. 단기 반등 트리거는 있었지만 추세 전환을 주장하기엔 “두 번째 확인 스파이크”가 필요.

  • 240분/60분에서도 돌파 시도 구간의 거래량이 평균 대비 유의미하나, 추세형 랠리를 만들 정도의 확장성은 아직 부족.


체크포인트: 0.000870 돌파 후 2~3봉 연속의 거래량 평균 상회(예: 최근 20봉 평균 대비 150~200% 이상)가 동반되는지 확인.




3) 변동성(ATR)과 밴드



  • 일봉 ATR이 하락 추세에서 최근 소폭 반등. 변동성 축소 뒤 확장 초기 신호로 해석 가능.

  • 240분 ATR은 지속 하락 → 저점권. 수렴 구간 탈피 직전의 전형적 모습.

  • 볼린저 밴드 폭은 전 타임프레임에서 좁아졌다가 60분 중심으로 서서히 벌어지는 중. 상단 밴드 동반 돌파가 나오면 단기 가속 가능.


전략적 함의: 변동성 확장 초입에서의 추격은 리스크가 크므로, “재돌파 확인→눌림 재진입”이 유리.




4) 모멘텀 지표(MFI, RSI)



  • 일봉

  • MFI가 75 부근 상단. 자금 유입 신호지만 과열 경계선 근접. 추가 상승 여지와 차익 매물 충돌 구간.


  • RSI 45대에서 상향 전환 시도. 50 상회 안착 여부가 추세 전환의 1차 조건.




  • 240분



  • MFI가 75 근처로 급등. 단기 과열. 거래량 동반 브레이크아웃 실패 시 되돌림 위험.


  • RSI 56대: 단기 우위이나 과매수 영역은 아님.




  • 60분



  • RSI 54대로 완만한 강세. 상단 꼬리 이후 모멘텀 둔화 → 조정/횡보로 시간 조정 중.


해석: 상·중기 모멘텀은 “개선 중이되 상단 과열과 맞물린 미세 위험” 공존.




5) 가격 레벨 맵



  • 핵심 저항

  • 1차: 0.000870 근처(박스 상단, 최근 꼬리 정점대)

  • 2차: 0.000900~0.000935(일봉 중기선·볼밴 상단 래치 구간)

  • 핵심 지지

  • 1차: 0.000855(박스 중앙/지지-저항 전환선)

  • 2차: 0.000820대(일봉 최근 저점대, 볼밴 하단 인근)

  • 무효화 트리거

  • 일봉 종가 기준 0.000820 이탈 시 반등 시나리오 무효, 재하락 추세 재개 위험.




6) 시나리오 기반 트레이딩 플랜



  • 보수적 매수(확인 매수)

  • 조건: 0.000870 상향 돌파 후 2~3개 봉(60분 기준) 종가 안착 + 거래량 평균 대비 150%↑

  • 진입: 돌파가 확인된 뒤 첫 눌림에서 0.000865~0.000870 재매수 시도

  • 손절: 0.000855 하회 종가 확정

  • 1차 목표: 0.000900, 2차: 0.000930~0.000935


  • 리스크/보상: 약 -1.5%~-2% vs +3%~+7% 영역




  • 공세적 매수(바닥 매수)



  • 조건: 0.000855 테스트 후 저점 높임 확인(60분 Higher Low 형성 + RSI 50 재상회)

  • 진입: 0.000858~0.000862 분할

  • 손절: 0.000848 이탈 시


  • 목표: 0.000870 재돌파 → 0.000900




  • 관망/대응




  • 0.000820대 재시험 시, 과매도 신호(RSI 30대 진입)·피싱 바텀 유무 보고만. 즉시 매수보다 반등 확인 캔들(장대양봉+거래량) 확인 후 대응.




  • 익절 관리



  • 1차 목표 도달 시 30~50% 분할 익절, 잔여 물량은 추세선 이탈 또는 60분 RSI 과매수(70↑)에서 트레일링 스탑.




7) 체크리스트(실전 모니터링 포인트)



  • 가격: 0.000870 종가 안착 여부

  • 거래량: 돌파 봉과 그 다음 봉 모두 평균 대비 확장되는지

  • 모멘텀: 240분 RSI 55~60 유지, 일봉 RSI 50 상회 정착

  • 변동성: ATR 확장 국면에서 음봉-확대 동반 시 추격 금지

  • 패턴: 240분 수렴 상단 추세선 위에서 눌림 저점이 이전 고점 위에 형성되는지




8) 리스크 요인



  • 저가 알트 특성상 슬리피지·스프레드 확대 위험

  • 단일 거래소 이슈나 뉴스성 스파이크 후 급반납 패턴 빈번

  • 변동성 확장 초기에 “가짜 돌파” 빈발 → 반드시 거래량 확인 필요




9) 결론



  • 현재는 “중기 하락 속 단기 반등·수렴 돌파 시도 구간”.

  • 승부처는 0.000870 안착 + 거래량 확장. 그 전에는 박스 상단에서의 잡음이 커서 보수적 접근이 유리합니다.

  • 단기 매매는 눌림 재진입 또는 돌파 확인 후 분할 전략, 중장기 홀딩은 일봉 RSI 50 상회 정착과 0.000900대 회복을 최소 조건으로 설정하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