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coin 25.11.2
BTT/KRW(일·240분·60분) 차트 스크린샷(2025-11-02 오전 기준)을 바탕으로 요청하신 대로 “꼼꼼하고 단계적이며 절차적인 사고” 흐름으로 결과만 명확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내부 사고 과정(추론 원문)은 제공하지 않으며, 무엇을 어떤 순서로 확인했고 그 근거로 어떤 결론·실전 규칙을 도출했는지만 단계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한줄 요약
- 전체 판정: 상·중·단기 구조는 전반적으로 하방 우위였으나, 최근 60분차에서 거래량 회복·RSI·MFI 개선 신호가 관찰됩니다. 즉시 대규모 롱 진입은 위험하고, 확인 신호(60분 연속 거래량 동반 양봉 또는 240분/일봉의 구조적 전환) 후 분할 진입 또는 소규모 스캘핑만 고려하세요.
분석 절차(무엇을, 왜, 어떤 순서로 확인했는가)
- 일봉(상위) — 전체 추세(롱/숏/관망) 판단: 일목구름·장기 MA·일봉 ATR·거래량·MFI·RSI 확인
- 240분(중기) — 반등의 지속성·저항 위치 확인: 구름 하단·중기 MA·거래량 추이 점검
- 60분(단기) — 진입 타이밍·손절폭 산정: 캔들(몸통·꼬리)·거래량 바·ATR(60)·RSI·MFI로 실전 규칙 수립
- 지지·저항 산출 → 조건부 시나리오(보수·단기·숏) 수립 → 포지션·리스크 규칙 적용
(원칙: 캔들 → 거래량 → 상위추세 순으로 신뢰도 검증)
시간축별 관찰 및 의미 (이미지 기준, 간결)
1) 일봉(장기)
- 관찰: 일목구름 아래에 가격이 위치, 장기 MA 하향 정렬, 최근 연속 하락. ATR은 과거 급락 이후 완만히 축소. 거래량은 급락 후 대체로 낮음, MFI·RSI는 저점권 또는 약한 수준.
- 의미: 장기 관점에서는 여전히 하방 우세. 일봉에서의 추세 전환(구름 돌파·장기 MA 정렬 전환·거래량 회복)이 확인되기 전에는 중·장기 롱 비중 확대는 위험합니다.
2) 240분(중기)
- 관찰: 구름 하단·중기 MA가 저항 역할, 최근 몇 봉 동안 횡보 후 소폭 상승 시도. ATR(240)은 일시 확대 후 완화. MFI가 바닥에서 상승하는 모습을 보임(다만 수준은 중립 내외).
- 의미: 중기 전환 조건은 ‘240분 구름 돌파 + 거래량의 지속적 회복’입니다. 현재는 반등 시도가 있으나 저항 구간에서 밀릴 가능성 존재.
3) 60분(단기)
- 관찰: 최근 60분 봉에서 연속된 작은 캔들 이후 거래량 증가와 함께 비교적 강한 양봉들이 나왔습니다. RSI(60)와 MFI(60)가 개선(상승)했고 ATR(60)은 단기 변동성 파악용으로 약간 상승 중. 60분 차트상 저가 탐색 구간(바닥화 시도)이 관찰됩니다.
- 의미: 단기적으로는 ‘저가 다지기 후 소규모 반등’ 신호가 보입니다. 그러나 상위 추세(240·일봉)가 아직 약세이므로 역행 롱은 소규모·분할·엄격 손절로만 접근해야 안전합니다.
핵심 지지·저항(이미지 기준 근사치)
- 현재값: 약 0.000719 (이미지 상 표시)
- 단기 지지: 0.000710–0.000712 (최근 저점군)
- 즉시 단기 저항: 0.000722–0.000726 (최근 고점/봉 상단)
- 중기 저항: 0.000730–0.000740 (240분 구름 하단·중기 MA)
- 장기 저항: 0.00080+ 구간(일봉 구름/장기 MA)
- 하방 리스크: 지지 이탈 시 0.00070대 후반 → 0.00065~0.00060 가능성
(주의: 실거래 전 실시간 호가·소수점 단위 확인 필수)
캔들·거래량·지표별 핵심 포인트(실전 적용)
- 거래량 동반 양봉(60분): 신뢰도 ↑ — 특히 연속 2봉 이상 거래량 유지되면 단기 모멘텀 인정.
- 아랫꼬리(지지 탐색): 단독으로는 약함 — 다음 봉에서 거래량·종가 확인 필요.
- RSI·MFI 동시 개선: 반등 신호지만 MFI(자금 유입)가 충분히 회복되어야 지속성 확보.
- ATR 증가: 변동성 확대 → 손절 폭은 ATR 기반으로 현실적으로 설정(너무 좁게 금지).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단계적·구체적)
공통 규칙: 상위추세가 약세이므로 롱은 분할·보수, 숏은 경험자만(손절 엄격).
A) 보수적 스윙(권장)
- 진입 조건: 240분 또는 일봉에서 구름 상향 돌파(종가 기준) + 거래량 회복(평균 이상) 확인
- 진입 방식: 돌파 확인 후 3단계 분할(초기 30% → 확인 후 30% → 확신 시 잔여)
- 손절: 일봉 직전 구조적 저점 하회 시(또는 일봉 ATR×1.5)
- 목표: 중기 저항(0.000730–0.000740)에서 분할 익절
B) 단기 데이 트레이드(조건부·소규모)
- 진입 조건: 60분에서 강한 바디의 양봉 + 거래량 급증 + RSI·MFI 동반 개선
- 손절: 직전 60분 저점(예: 0.000710 하회) 또는 60분 ATR×1.0~1.5
- 목표: 단기 저항(0.000722–0.000726)에서 부분익절
- 포지션 권장: 계좌의 0.5%~1% 리스크(상위추세 역행 고려)
C) 숏(고위험)
- 진입 조건: 단기 반등이 240분/일봉 저항에서 거래량 동반 실패(강한 음봉)로 반전할 때
- 손절: 반등이 구름 상향 돌파하거나 연속 강한 양봉 발생 시 즉시 청산
- 목표: 단기 지지(0.000710–0.000712), 이탈 시 다음 구조적 저점으로 분할 익절
리스크 관리·포지션 사이징 예시
- 원칙: 한 거래의 최대 손실을 계좌의 1~3%로 제한 권장.
- 계산 예시(계좌 1,000,000원, 허용 손실 2% = 20,000원)
- 가정: 단기 진입가 0.000722, 손절 0.000712(손절폭 0.000010 ≈ 약 1.39%)
- 이론 허용 포지션 금액 = 20,000 ÷ 0.0139 ≈ 1,438,848원(이론)
- 실전 권장: 수수료·슬리피지·심리 고려해 이론의 30–60% 적용 → 실제 포지션 약 430k~863k원 권장
- 실행 규칙: 손절가는 반드시 주문과 동시에 지정(조건부)으로 넣고, 감정 개입으로 미이행하지 마세요.
주문 전 3초 체크리스트(즉시 점검)
- 일봉: 구름 아래인가? → 네 → 관망 우선
- 240분: 구름 돌파·거래량 동반 신호가 있는가? → 아니면 대기
- 60분: 진입 캔들에 거래량·RSI·MFI 개선 동시 확인되는가? → 네일 때만 소규모 진입
- 외부 변수: 글로벌 시세·거래소 공지·대형 체결 뉴스 확인
- 주문 세팅: 진입가·손절가·목표가·포지션 크기 사전 입력 완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