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

bttcoin 25.9.20

neoniki1234 - 2025-09-20 00:53:30

BTT/KRW 차트를 절차적 사고로 단계별 분석 드립니다


아래는 올려주신 60분, 240분, 일봉 이미지를 바탕으로 한 객관 관찰 → 해석 → 액션 아이디어 순서의 구조화 분석입니다.




1) 시장 구조(추세·위치)



  • 관찰

  • 60분봉: 최근 저점 형성 후 반등 시도. 가격이 중단 밴드 부근을 반복 테스트, 막대 하나가 상단 밴드 근처까지 닿았으나 종가 기준 뚜렷한 돌파·안착은 아님. 5·10선은 상향 기울기 전환 시도, 20·60선은 아직 하방.

  • 240분봉: 단기 반등 이후 중단 밴드와 이동평균 밀집 구간(약 0.000895~0.000905)에서 옆걸음. 상단에서 저항 반복.


  • 일봉: 하락 추세선(장기 이동평균 하향) 아래에서 소폭 반등 후 횡보. 중단 밴드 근처에서 캔들이 작은 몸통을 형성.




  • 해석




  • 상위 추세는 아직 하락/중립, 단기(60분)는 기술적 반등이 진행 중이나 상단 저항에 막히는 구조. 핵심 구간은 0.000895~0.000905 박스.




  • 액션 아이디어



  • 추세 추종보다는 박스 중심의 단기 매매가 합리적. 상방 추세 확정은 상위 프레임 저항 회수 후에 판단.




2) 수평 지지·저항



  • 관찰

  • 즉시 지지: 0.000890 전후(여러 차례 하단 꼬리), 그 아래 0.000885~0.000880대 얕은 지지.


  • 즉시 저항: 0.000899~0.000902(60분 상단 돌파 실패대), 그 위 0.000913 전후(240분 상단 밴드 인근), 일봉에선 0.000930대가 다음 상단.




  • 해석




  • 0.000890 지지 유지 시 단기 반등 이어질 수 있으나, 0.000900대 초반 저항을 거래량으로 뚫지 못하면 재차 눌림 가능.




  • 액션 아이디어



  • 매수는 지지 재확인 후 또는 저항 상향 돌파·안착 후로 나누어 접근:

    • 지지 매수: 0.000890± 재확인 + 반등 신호(아래 5번 조건) 시 1차.

    • 돌파 매수: 0.000902 상향 돌파 후 재지지 확인 시 1차.






3) 이동평균 정렬과 기울기



  • 관찰

  • 60분: 5·10선 상향, 20선은 하향이지만 평탄화 시도. 캔들이 5·10선 위·아래를 오가며 공방.

  • 240분: 5·10·20선이 모여 크로스 지대 형성(힘겨루기). 60·120선은 하방.


  • 일봉: 5·10선은 완만한 우상향 전환 시도, 20·60·120선은 하향.




  • 해석




  • 단기 골든크로스 후보이나 상위선(20·60·120)의 하방 압력이 아직 큼. “초기 추세 전환 후보 구간”으로 볼 수 있으나 확인이 필요.




  • 액션 아이디어



  • 신뢰도 높은 매수는 60분 20선 위 다연속 종가 안착 + 240분 5·10선 위 안착이 동시 충족될 때.




4) 볼린저 밴드·변동성(ATR)



  • 관찰

  • 60분: 하단 밴드에서 중단선 회복을 반복, 상단 밴드 터치 시 윗꼬리. 밴드 폭은 중간 이하.

  • 240분: 밴드 폭 축소, 중단선 부근 횡보.


  • 일봉: 밴드 폭 축소(스퀴즈 전조). ATR 하락 지속.




  • 해석




  • 변동성 수축 국면. 수축 뒤 방향성 확장 가능성 큼. 첫 번째 확장 시 그 방향 추종이 유리.




  • 액션 아이디어



  • 변동성 확장 신호: 60분 봉 기준 상단/하단 밴드 바깥 종가 마감 + 거래량 급증. 이때 반대방향 손절을 짧게 두고 추종.




5) 모멘텀 지표(MFI, RSI)



  • 관찰

  • 60분: RSI가 47대로 중립 상향, MFI는 급등(70대 초반)으로 단기 매수 압력 유입 흔적.

  • 240분: RSI 51 내외, MFI 50대 중반으로 중립 우위.


  • 일봉: RSI 46대, MFI 40대 중반. 중립 하단에서 상승 시도.




  • 해석




  • 하위 프레임에서 모멘텀이 먼저 살아남. 다만 60분 MFI가 70대까지 치솟은 후 가격이 저항을 즉시 돌파하지 못하면 단기 과열→되돌림 위험.




  • 액션 아이디어



  • 60분 RSI가 저점 높임 유지 + 가격이 동행 상승하면 매수 유지. 만약 가격은 횡보인데 MFI만 고점(>70) 후 꺾이면 비중 축소.




6) 거래량



  • 관찰

  • 60분: 반등봉 대비 거래량이 직전 급락봉보다 다소 약함. 최근 소폭 증가하나 뚜렷한 돌파형 볼륨은 아님.


  • 240분·일봉: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 유지, 스윙 관점 추진력이 부족.




  • 해석




  • 돌파 성공 확률을 높이려면 거래량 확충이 필수. 볼륨 없는 돌파는 실패/페이크 가능성.




  • 액션 아이디어



  • 진입 캔들의 거래량이 직전 5봉 평균 대비 최소 1.3~1.5배 이상인지 체크. 미달 시 목표가/보유 기간을 짧게.




7) 시나리오 플래닝



  • 시나리오 A: 박스 상단 돌파(우상향 전개)

  • 트리거: 0.000902 상향 돌파 후 그 위에서 2개 봉 이상 종가 안착 + 거래량 증가.

  • 목표: 0.000913 1차, 0.000925~0.000930 2차.


  • 무효화/손절: 돌파 후 0.000898 하회 종가 시 포지션 축소.




  • 시나리오 B: 저항 확인 후 재조정(횡보 하단 재확인)



  • 트리거: 0.000899~0.000902에서 연속 윗꼬리 + 60분 MFI 과열 후 하락.

  • 대응: 0.000892~0.000890 재테스트 때 반등 신호 나오면 단타 매수, 실패 시 0.000885까지 하방 열림.


  • 손절: 0.000884 종가 이탈.




  • 시나리오 C: 변동성 확장 하방(스퀴즈 하단 이탈)



  • 트리거: 60분 하단 밴드 밖 종가 마감 + 거래량 급증.

  • 대응: 보유분 방어 최우선, 반등 때 손실 축소. 재진입은 하락 가속 종료 후 다이버전스 확인.




8) 신호 체크리스트(진입 전)



  • 60분 캔들이 20선 위 종가 안착했는가?

  • 60분 RSI가 직전 저점보다 높고, 가격 저점은 동일/상향인가? (강세 다이버전스 지속)

  • 0.000902 돌파 시 거래량이 직전 5봉 평균 대비 ≥1.5배인가?

  • 돌파 후 되돌림에서 0.000899~0.000900을 지지로 전환하는가?




9) 리스크 관리와 포지션



  • 비중: 변동성 수축 국면이므로 1회 진입당 평소의 50~60% 권장.

  • 손절은 “가격이 아니라 조건” 기준 우선: 지지 전환 실패/종가 이탈 시 기계적으로 정리.

  • 분할 익절: 1차 저항에서 30~40%, 다음 저항에서 30%, 나머지는 추세 추종.




결론 요약



  • 현재 BTT는 하락 추세 하에서 단기 반등이 진행되는 “균형 구간(0.000895~0.000905)”에 있습니다.

  • 상방 전환을 확증하려면 0.000902 돌파-안착과 거래량 동반이 필요합니다. 그 이전에는 0.000890 지지 재확인이 핵심입니다.

  • 변동성 수축이 깊어, 곧 방향성 확장이 나올 가능성이 큽니다. 첫 확장 방향을 추종하되, 되돌림에서 조건부로만 대응해 주시는 것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