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KRW) 일봉 차트 — 절차적·강의형 분석
아래 순서로 관찰 → 판단 → 시나리오 → 검증 순으로 논리를 세워 보겠습니다.
1) 문제 정의와 기준
- 목표: 단기·스윙 관점에서 현재 추세의 지속/반전 확률을 판단하고, 지지·저항과 실행 규칙을 도출합니다.
- 관찰 지표: 캔들/거래량, 이동평균(5·10·20·60·120), 볼린저 밴드, RSI·MFI, ATR(14).
2) 사실(Observation)
- 가격/캔들: 약 6,669,000원. 큰 양봉으로 직전 하락을 완전히 되감는 강한 반등.
- 이동평균: 가격이 5·10·20·60·120일선 위. 단기선이 중기선 위로 정렬(강세 배열).
- 볼린저: 상단을 강하게 터치(상단 돌파 시도)했고 밴드가 벌어지는 확장 초입.
- 거래량: 최근 수주 중 최대급으로 증가. 상승을 거래량이 동반.
- 모멘텀: RSI 14 ≈ 65, MFI ≈ 65. 강세구간 진입, 과열 직전(70 미만).
- 변동성: ATR 14 ≈ 32만 원으로 가파른 상승. 변동성 확장 페이즈.
이상을 종합하면 “강한 매수 압력 + 변동성 확장 + 돌파 시도”라는 상태입니다.
3) 해석(Reasoning)
- 추세 판단: 단기 강세로 전환/강화. 이동평균·거래량·밴드 확장이 동일 방향(상방)으로 일치합니다.
- 그러나: 상단 밴드 돌파 직후엔 통계적으로 단기 되돌림(밴드 재진입)이 수시로 발생합니다. 즉, 방향은 위, 경로는 요동이 커질 가능성이 큽니다.
4) 핵심 가격 구간(Levels)
- 단기 저항
- 6.70~6.85백만 원: 상단 밴드·최근 고점 밀집대.
- 7.00백만 원: 심리적 저항.
- 7.20~7.30백만 원: 돌파 후 1차 확장 목표(단기 파동 측정치).
- 단기 지지
- 6.20~6.40백만 원: 5·10일선 밀집대(눌림 매수 후보).
- 6.00백만 원 안팎: 20일선·중심선(추세 보정선).
- 추세 훼손 경계
- 일봉 종가 6.00백만 원 하회 시 단기 강세 시나리오 약화.
- 5.70~5.80백만 원: 이전 박스 하단 재시험 위험 구간.
5) 시나리오별 의사결정 트리
- 시나리오 A) 돌파 지속
- 조건: 일봉 종가가 상단 밴드 위(또는 바로 위)에서 1~2일 연속 유지 + 상승 날 거래량 우위.
- 실행: 분할 진입(시장가 50% + 눌림 50%). 보수적이면 6.85 상향 돌파 확정 시 추격 일부.
- 청산: 6.85 부근 1차 분할, 7.00 심리대 2차, 나머지는 추적 손절.
- 시나리오 B) 건강한 되돌림(밴드 재진입)
- 조건: 상단 밴드 돌파 후 다음 날 윗꼬리·거래량 둔화·5/10일선 근처 지지 확인.
- 실행: 6.20~6.40에서 하락세 약화(작은 양봉 전환) 확인 후 분할 매수.
- 청산: 전고(6.70~6.85) 부근 30~50% 실현, 나머지는 추적.
- 시나리오 C) 가짜 돌파 후 약세 전환
- 조건: 대음봉으로 상단 밴드 안쪽 깊게 복귀 + 거래량 급증 + RSI가 50대 중반→하락.
- 대응: 관망 또는 단기 숏 스윙은 고난도. 보유분은 6.00 백만 원 이탈 시 방어 우선.
6) 리스크 관리(ATR 기반)
- 현재 ATR 14 ≈ 32만 원. 손절 폭을 1.0~1.5 ATR로 잡으면 32만~48만 원.
- 예시(교육용):
- 계좌 1,000만 원, 1회 위험 1%(10만 원), 손절 1.2 ATR(약 38.6만 원) 가정
- 수량 = 10만 ÷ 38.6만 ≈ 0.26 ETH
- 포인트: 변동성 확장기에는 손절 폭을 넓히는 대신 수량을 줄여 위험을 일정하게 유지하세요.
7) 논리 오류 점검(반증 조건)
- “상승 지속” 가설을 깨는 신호
- 하락 날 거래량이 상승 날보다 커지고, 연속 2~3일 음봉으로 20일선 하회.
- RSI가 50 아래로 이탈하고 회복 실패.
- “되돌림 후 재상승” 가설을 깨는 신호
- 6.20~6.40 지지 구간에서 반등 시도마다 거래량이 감소하고 고점이 낮아질 때.
- 위 신호 발생 시 계획을 즉시 C 시나리오로 전환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8) 오늘의 체크리스트(실행·모니터링)
- 종가가 상단 밴드 위/근처에서 유지되는가?
- RSI 70 돌파(가속) vs 70 근처 반락(단기 조정) 중 무엇이 확인되는가?
- 상승 날 거래량 우위, 조정 날 거래량 축소가 유지되는가?
- 6.20~6.40 눌림에서 양봉 전환 신호가 나오는가? 없으면 기다린다.
9) 요약
- 현재는 “상승 추세 재가동 + 변동성 확장”으로 해석되며, 상단 밴드 돌파 유지 시 6.85→7.00 테스트 시나리오가 우세합니다.
- 다만 과열 직전 구간이므로 추격은 분할·축소 수량이 합리적이고, 6.00 백만 원 아래 종가 이탈은 강세 무효 신호로 봅니다.
알림 구간(6.40 지지, 6.85 돌파, 6.00 이탈)도 정리해 드릴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