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

steemcoin 25.11.1

neoniki1234 - 2025-11-01 00:34:33

STEEM/KRW 차트를 기준(시점: 2025-11-01 오전)으로 — 캔들·거래량·지표·상위구조를 “꼼꼼하고 단계적이며 절차적 사고” 방식으로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내부적 사고 과정(모델의 추론 원문)은 제공하지 않고, 무엇을 어떤 순서로 확인했고 그 결과로 어떤 결론·실전 규칙을 도출했는지만 단계별로 명확하게 정리하겠습니다.


요약(한 문장)

- 전반 판단: 일·240분·60분 모두 하방 압력이 우세했으나 60분에서 최근 약한 반등 시그널(거래량 일부 회복·RSI 개선)이 보입니다. 상위 추세 전환 확인 전까지는 관망 우선, 단기 재진입은 소규모·엄격 손절로만 접근하십시오.


1) 분석 절차(무엇을, 왜, 어떤 순서로 확인했는가)



  1. 상위(일봉) 확인 — 목적: 전체 전략(롱/숏/관망) 결정(구름·장기 MA·일봉 ATR·거래량·MFI/RSI).

  2. 중간(240분) 확인 — 목적: 반등의 지속성·저항 확인(구름 하단·중기 MA·거래량 패턴).

  3. 단기(60분) 확인 — 목적: 진입 타이밍·손절폭 산정(캔들 바디·꼬리·거래량·ATR·RSI·MFI).

  4. 지지·저항 산출 →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보수·단기·숏) 수립 → 포지션·리스크 규칙 적용.

    (원칙: 캔들 → 거래량 → 상위추세 순으로 신뢰도 검증)


2) 일봉(장기) — 관찰·의미



  • 관찰 포인트:

  • 가격이 일목구름 아래, 장기 이동평균(상·중기선) 하향 정렬.

  • 최근 연속 음봉 흐름, 일봉 ATR은 과거 급락 이후 감소 추세.

  • 거래량: 급락 시 거래 집중 후 전반적 회복은 약함.

  • MFI(자금흐름)·RSI: MFI 낮음(자금 유입 부족), RSI는 저점권이나 뚜렷한 반전 신호 아님.

  • 의미:

  • 장기 관점은 ‘하방 우위’. 일봉 레벨에서 구름 상향 돌파와 거래량 동반 없이는 중·장기 롱 확대 금지.


3) 240분(중기) — 관찰·의미



  • 관찰 포인트:

  • 240분 차트에서 가격이 구름 하단·중기 MA 인근에서 저항받음.

  • 특정 시간대 거래량 스파이크로 단기 반등 시도 있었으나 연속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음.

  • ATR(240)은 단기 국면에서 상승했다가 다시 완화되는 모습.

  • 의미:

  • 중기 전환 신뢰도 낮음. 240분에서 구름 상향 돌파(종가 기준) 및 거래량의 지속적 회복이 확인돼야 반등을 신뢰할 수 있음.


4) 60분(단기) — 관찰·의미(진입·손절 관점)



  • 관찰 포인트:

  • 60분 봉은 최근 아랫꼬리(저가 탐색)와 작은 몸통의 연속, 124–127(예시값) 부근에서 횡보·소폭 반등.

  • 거래량: 일부 봉에서 평소 대비 증가(반등 시 거래량 증가), 전체적으로는 평균 수준 내외.

  • RSI(60): 저점권(약 30대 근처)에서 소폭 반등, MFI는 낮지만 최근에 소폭 반등 움직임.

  • ATR(60): 단기 변동성 감안 가능(손절 폭 산정 기준).

  • 의미:

  • 단기적으로는 ‘저가 탐색 후 반등 시도’로 읽힙니다. 그러나 상위 추세(240/일봉)가 약세이므로 역행 롱은 소규모·조건부(거래량 동반 양봉 확인)로만 접근해야 안전합니다.


5) 핵심 지지·저항(이미지 기준 근사치)



  • 즉시 단기 지지: 약 123–124원(최근 60분 저점)

  • 즉시 단기 저항: 약 126–128원(최근 봉 상단·단기 MA)

  • 중기 저항: 133–137원(240분 구름 하단·중기 MA)

  • 장기 저항: 155원 전후(일봉 구름·장기 MA)

  • 하방 리스크: 지지 이탈 시 115–120원대까지 열릴 수 있음


(실제 주문 시 실시간 호가로 반드시 재확인 요망)


6)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단계적·구체적)


공통 원칙: 상위추세(일봉)가 하락인 상황에서 롱은 분할·보수, 숏은 경험자만(손절 엄격).



  • 시나리오 A — 보수적 스윙(권장)

  • 진입 조건: 240분 또는 일봉에서 구름 상향 돌파(종가 기준) + 거래량 회복 확인

  • 진입 방식: 돌파 확인 후 3단계 분할(초기 30% → 확인 후 30% → 확신 시 잔여)

  • 손절: 일봉 직전 구조적 저점 하회 또는 일봉 ATR×1.5


  • 목표: 중기 저항(133–137원)에서 부분익절




  • 시나리오 B — 단기 데이 트레이드(조건부·소규모)



  • 진입 조건: 60분에서 강한 바디의 양봉 + 거래량 급증 + RSI·MFI 동반 개선

  • 손절: 직전 60분 저점(예: 123원 미만) 또는 60분 ATR×1.0~1.5

  • 목표: 단기 저항(126–128원)에서 부분익절


  • 포지션: 계좌의 0.5%~1% 리스크 권장




  • 시나리오 C — 숏(고위험, 경험자)



  • 진입 조건: 단기 반등이 240분/일봉 저항에서 명확히 실패(거래량 동반 음봉)할 때

  • 손절: 반등으로 구름 상향 돌파 시 즉시 청산

  • 목표: 단기 지지(123–124원) → 이탈 시 다음 저점으로 분할익절


7) 포지션·손절 계산 예시



  • 원칙: 한 거래의 허용 손실을 계좌의 1~3%로 제한.

  • 예시(계좌 1,000,000원, 허용 손실 2% = 20,000원)

  • 가정: 진입 126원, 손절 123원(손절폭 3원 ≒ 약 2.38%)

  • 이론 허용 포지션 금액 = 20,000 ÷ 0.0238 ≈ 840,336원(이론)

  • 실전 권장: 슬리피지·수수료·심리 고려해 이론의 30–60% 적용 → 실제 포지션 약 252k–504k원 권장.

  • 손절 규칙: 반드시 주문 시점에 손절가 사전 입력, 감정 개입으로 미이행 금지.


8) 주문 전 체크리스트(3초 점검)



  1. 일봉: 구름 아래(하락)인가? → 예(그렇다면 관망 우선).

  2. 240분: 구름 돌파·거래량 동반 신호가 있는가? → 아니면 대기.

  3. 60분: 진입 캔들에 거래량·RSI·MFI 개선이 동반되는가? → 네일 때만 소규모 진입.

  4. 외부 변수: 글로벌 시세·거래소 공지·대형 체결 뉴스 확인.

  5. 주문 세팅: 진입가·손절가·목표가·포지션 크기 사전 입력 여부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