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coin 25.11.21
2025-11-21 기준 STEEM(STEEM/KRW) 차트를 다중시간대(60분·240분·일봉)로 단계별·절차적 사고로 꼼꼼히 분석했습니다 — 단기 반등 시도, 중기 저항 유효, 일봉상 장기 하락 추세 유지. 다음 표준 절차(추세 → 수급 → 모멘텀 → 지지·저항 → 매매 시나리오 → 리스크 관리)로 정리드려요.
1) 준비 — 어떤 화면·지표로 분석했는지
- 분석 기준: 시온님이 올려주신 스크린샷(2025-11-21 오전, STEEM/KRW).
- 사용 타임프레임: 60분(단기), 240분(중기), 일봉(장기).
- 확인 지표(화면 표기): 캔들·거래량(봉+MA), 단기·중기 이동평균(MA5/10/20/60/120), 이치모쿠(구름대), 볼린저 일부, RSI(14), MFI(14), ATR(14).
- 주의: 모든 수치·레벨은 이미지 판독 기반 추정치입니다. 실거래 전 호가창·체결가로 최종 확인하세요.
2) 단계 1 — 60분 차트(단기) 절차적 분석
- 관찰
- 최근 몇 개 60분 봉에서 큰 하락 후 저점 확인 → 즉시 반등 캔들(양봉) 등장.
- 거래량: 반등 구간에서 거래량이 증가한 봉이 관찰됨(최근 봉 거래량이 평균 이상).
- 지표: RSI(60m) 약 45.6(중립권 회복), MFI 약 50.8(자금유입 신호), ATR(60m) 약 1.62(단기 변동성 보통 수준).
가격 위치: 단기 MA들이 근접·집결되어 있어 단기 방향성은 불확실하지만 ‘반등 시도’ 신호 존재.
해석
단기적으로는 저점에서의 기술적 반등 단계입니다. 거래량이 동반되어 신뢰도는 보통 수준이나 단기 이동평균을 뚫고 안정화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권장 행동 (단계적)
- 조건부 소규모 진입: 60분 지지(약 109–110 수준) 유지 + 거래량·RSI 동반 회복 확인 시 분할 진입(총 목표의 30% 선).
- 단기 손절: 60분 지지 이탈(예: 108 이하)에서 청산 권장.
- 단기 목표: 114–116(단기 저항)에서 일부 익절.
3) 단계 2 — 240분 차트(중기) 절차적 분석
- 관찰
- 240분 차트는 전반적 하향 추세가 누적되어 있음. 이치모쿠 구름대와 중기 MA들이 가격 위에 위치해 상방 저항 역할을 수행.
- 거래량: 최근 반등 시 거래량은 회복했으나 지속적 유입으로 보긴 어려움.
지표: RSI(240) 약 42.0(중립 하단), MFI(240) 약 38.1(자금 유입 미약), ATR(240) 약 2.80(중기 변동성 완화 내지 약간의 반등).
해석
중기 관점에서는 여전히 저항 우위입니다. 단기 반등이 중기 추세 전환으로 이어지려면 구름대·중기 MA(스크린상 약 120 내외) 돌파와 거래량의 지속적 회복이 필요합니다.
권장 행동 (단계적)
- 중기 확장 조건: 240분 또는 일봉에서 120 내외(구체 수치는 호가창 확인) 저항대를 거래량을 동반해 상향 돌파한 뒤 리테스트에서 지지 전환 시 분할 확대.
- 비확인 상태라면 관망 또는 소포지션 유지 권장.
4) 단계 3 — 일봉 차트(장기) 절차적 분석
- 관찰
- 일봉으로 보면 장기 하락 흐름이 이어지고 있으며, 장기 이동평균과 구름대가 상단에 남아 있어 강한 저항대 형성.
- 거래량: 큰 스파이크 이후 거래량은 전반적으로 낮은 상태. 최근 반등 때 거래량 증가가 있었지만 지속성은 의문.
지표: 일봉 RSI 약 35.3(약세권), MFI 약 54.1(자금 유입 징후 있으나 해석 주의), ATR(일봉) 약 7.6(변동성 완화).
해석
일봉 기준으로는 ‘반등 시도’에 그치며 장기 추세 전환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안정적 추세 전환 확인을 위해서는 일봉 상 주요 장기 MA/구름대 돌파 및 그 위에서 연속 종가 마감(2~3일 필요)이 필요합니다.
권장 행동 (단계적)
- 장기 포지션 확대는 일봉 저항(장기 MA/구름대 위치) 돌파 및 거래량 동반 후 검토.
- 장기 보수 투자자는 분할 매수로 평균단가를 관리하되 손절 규칙을 엄격히 지키시길 권장합니다.
5) 핵심 지지·저항(절차적 도출, 스냅샷 기준)
- 현재가(이미지 표기 기준): 111 KRW
- 단기 지지(우선): 108–110 KRW (60분·240분의 최근 저점군)
- 중기 지지: 105–108 KRW (240분 박스 하단)
- 단기 저항: 114–116 KRW (최근 고점·단기 MA)
- 중기 저항: 120–125 KRW (구름대 하단·중기 MA)
- 장기 저항(핵심): 140–155 KRW (장기 MA 및 과거 매물대)
(수치는 화면 판독 추정치입니다. 실거래 전 호가창으로 미세 조정 권장)
6) 절차적 매매 시나리오(분명한 규칙 기준)
- 시나리오 A — 보수적 단기 트레이드 (권장)
- 진입 조건: 60분 지지(108–110) 유지 + 거래량·RSI 동반 회복 확인
- 진입 방식: 분할 매수(1차 30% / 2차 20% 등)
- 손절: 60분 지지 하회(예: 107 이하)
목표: 114–116에서 부분 익절, 잔량은 중기 신호에 따라 관리
시나리오 B — 중기 추세 추종(확인 후 확대)
- 진입 조건: 240분/일봉에서 120–125 저항 구간 거래량 동반 돌파 → 돌파 후 리테스트에서 지지 전환 확인
- 진입 방식: 리테스트 확인 시 분할로 확대
- 손절: 리테스트 실패(재하락) 시 청산
목표: 장기 저항(140–155)까지 분할 익절
시나리오 C — 관망(리스크 최소화)
- 조건: 거래량·MFI 동반 회복, 일봉 RSI의 뚜렷한 상승(>45) 및 구름대 돌파 신호 전까지 무포지션 유지
7) 리스크 관리(절차적 체크리스트)
- 포지션 사이징: 손절 기준 계좌 손실 1~3% 권장 — 손절 거리로 진입 수량 산출.
- 손절 사전 설정: 진입 전 반드시 손절가를 고정하고 감정적 미루기 금지.
- 분할 진입·분할 익절: 평균단가 관리를 위해 진입·익절을 분할로 실행.
- 이벤트 모니터링: 온체인 대형 이동, 거래소 공지, 프로젝트 뉴스(업데이트·상장·공시) 및 대형 자산(비트코인 등) 변동성은 즉시 리스크요인 — 주요 이벤트 전후 포지션 축소 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