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

steemcoin 25.8.24

neoniki1234 - 2025-08-24 00:08:51

먼저 오늘 관측치부터 정리하겠습니다.

- 가격: 189원(일봉 기준)

- 보조지표: 볼린저밴드 수축, RSI14 ≈ 48(중립), MFI14 ≈ 54(약한 매수 우위), ATR14 ≈ 10원(변동성 축소), 거래량은 저조




1) 시장 상태 정의(What)



  • 추세: 중기선(60·120) 아래에서 20일선(밴드 중심선) 부근을 반복 터치하는 ‘약세-중립’ 구간입니다. 즉, 뚜렷한 추세가 아니라 박스 횡보의 성격이 강합니다.

  • 변동성: ATR이 약 10원까지 내려와 하루 기대 변동폭이 대략 ±5% 내외입니다. 변동성이 낮을수록 추격 돌파의 성공 확률은 낮고, 박스 상·하단 공략이 상대적으로 유리해집니다.

  • 모멘텀: RSI가 50선 아래·위에서 횡보하고, MFI가 50을 소폭 상회합니다. 자금 유입은 완만하나 ‘결정적’ 추진력은 부족한 상태입니다.


왜 이렇게 보나?

- 볼린저밴드 폭이 줄어들며 가격이 중심선 근처에서 등락 → 방향성 에너지 축적 단계의 전형적 모습

- RSI 45~55 박스 → 추세 신호 부재

- ATR 하락 → ‘강한 추세발생 전의 잠잠함’ 또는 ‘지루한 박스장’ 가능성




2) 핵심 가격 레벨(Where)



  • 단기 저항: 196원(밴드 중심/단기 평균선 인근), 205원(근접한 공급대), 220~221원(상위 공급대)

  • 단기 지지: 183~185원(밴드 하단 근처의 단기 바닥대), 176~177원(이탈 시 하방 확장 1차), 165원 부근(일봉 하단 스케일상 핵심 방어선)


레벨의 의미

- 196원 위에 안착(일봉 종가 기준) → 박스 상단 탈출 시도 신호

- 183원 종가 이탈 → 하단 확장(176→165) 가능성 커짐




3) 시나리오별 논리 전개(How)



  1. 기본 시나리오: ‘박스 지속’(확률 높음)

  2. 근거: ATR 하락, RSI 중립, 거래량 위축


  3. 기대 흐름: 183~196 사이에서 진동 → 밴드 폭이 다시 벌어질 때까지 소음 구간




  4. 상승 시나리오: ‘196 돌파·안착 → 205 → 220’



  5. 트리거: 196 이상에서 일봉 마감 + 거래량 평균 상회


  6. 논리: 밴드 중심선 위 재안착은 모멘텀 회복의 1차 신호, 205는 직전 공급·평균선 밀집대라 1차 목표로 합리적




  7. 하락 시나리오: ‘183 종가 이탈 → 176 → 165’



  8. 트리거: 밴드 하단 이탈·확대 + 거래량 동반 확대

  9. 논리: 밴드 하단 이탈 후 재진입 실패 시 변동성 재확대로 하방 타깃 열림




4) ATR 기반 실행 예시(리스크 먼저, 절차적으로)



  • 현재 ATR14 ≈ 10원

  • 박스 트레이드(역추세)

  • 아이디어: 185~186원대 분할 매수 → 195~197원 분할 청산

  • 손절: 183원 확정 이탈 혹은 0.8~1.0 ATR(8~10원) 기준

  • 논리: 박스 하단 매수·상단 매도. 낮은 ATR일수록 유리

  • 돌파 트레이드(순추세)

  • 아이디어: 205원 ‘상향 돌파 후’ 일봉 마감 확인 매수 → 220/235원 순차 목표

  • 손절: 196원 회귀(가짜 돌파 무효화)

  • 논리: 박스 상단과 공급대 연속 돌파가 모멘텀 전환의 증거

  • 하방 방어(헤지 관점)

  • 183원 이탈 시 관망 또는 파생 헤지 고려(가능한 거래소 한정)

  • 논리: 하단 깨지면 ATR이 커지며 손실 확장 위험 증가


포지션 크기(예시)

- 1회 거래 손실 한도 1% 가정

- 손절폭 10원(≈1 ATR)이라면 수량 = 계좌 * 1% / 10원

- 이유: 변동성(ATR)에 맞춘 균일한 리스크 관리가 누적 성과를 안정화합니다.




5) 체크리스트(의사결정 오류 예방용)



  • 오늘 종가가 196 위/아래? → 위면 상승 시나리오 준비, 아래면 박스 유지.

  • 거래량이 20일 평균 상회? → 돌파 신뢰도 상승.

  • 밴드 폭이 다시 벌어지기 시작? → 방향성 장 시작 신호.

  • 비트코인 방향과 상관계수 확인 → 알트코인은 대장 방향 영향 큼.

  • 프로젝트/거래소 특이 공지 → 레벨·지표보다 우선하는 변수.




6) 예상 가격 흐름도(텍스트 시퀀스)



  • 기본: 183~196 박스 내 등락 → 트리거 발생 전까지 변동성 축소 지속

  • 상방 확장: 종가 기준 196 상회 → 205 테스트 → 성공 시 220 부근 저항 충돌

  • 하방 확장: 183 종가 이탈 → 176 지지 확인 시 반등, 실패 시 165 테스트




요약

- 지금은 ‘낮은 변동성의 박스장’ 성격이 강합니다.

- 관건은 196 상향 안착(강세 전환 신호)과 183 하향 이탈(약세 확장 신호)입니다.

- 실행은 ATR(≈10원)을 기준으로 손절·목표를 설계하시고, 거래량 확인을 필수로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