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coin 25.9.5
차트를 단계적으로 꼼꼼히 해석해 드리겠습니다
분석 대상: STEEM/KRW의 60분, 240분, 일간 차트. 지표는 이동평균(5·10·20·60·120), 볼린저밴드, 거래량, MFI14, RSI14, ATR14가 보입니다. 현재가 인근 180원.
먼저 전제와 목표를 명확히 하겠습니다.
- 전제: 스크린샷 시점의 데이터에 근거해 멀티 타임프레임으로 방향성·레벨·트리거를 도출합니다.
- 목표: 논리 오류(성급한 일반화, 단일 지표 맹신)를 피하고, 시나리오별 실행조건·무효화 조건을 명시합니다.
1) 시장 구조(멀티 타임프레임)
- 일간
- 추세/위치: 캔들이 중장기 이동평균 하단~근처에서 횡보. 볼린저 중단선 아래에서 움직이며 완만한 하락-횡보 구간.
- 범위: 대략 176~186 박스권(하단은 최근 저점·하단밴드, 상단은 20일선·중단선 부근).
관찰 포인트: 일간 거래량은 미미, ATR 하락세(변동성 축소). 추세 돌림 신호보다 “수렴 후 방향성 재개” 구간에 가깝습니다.
240분
- 추세/위치: 단기 하락파동 이후 저점 인근에서 반등 시도. 60·120 이평 위로 올라서지 못한 상태로 보수적으론 아직 하락-횡보.
의미: 중기 관점의 “되돌림은 매도 저항을 만날 가능성”이 크지만, 박스 상·하단에서 단타 기회는 존재.
60분
- 추세/위치: 하단밴드 부근에서 거래량이 동반된 단봉 반등이 나왔지만 RSI·MFI는 중립(40대 후반).
- 의미: 강한 추세 전환이라기보다 “밴드 하단 반등 → 중단선/저항 테스트” 성격이 강함.
해석 요약: 상위(일간)와 중위(240분)가 “수렴·횡보”를, 하위(60분)는 “밴드 하단 반등”을 시사합니다. 즉, 큰 그림은 박스권, 초단기는 반등 구간입니다.
2) 모멘텀·수급
- RSI(일·4H·1H): 모두 46~48대의 중립권. 과매수/과매도 신호는 아닙니다.
- MFI: 일간이 비교적 높게 보이지만, 절대 거래량이 작아 왜곡 가능. 4H·1H는 중립~약한 회복.
- 논리적 함의: 모멘텀만으로 방향을 단정하기 어렵고, “가격 레벨과 거래량 동반 돌파/이탈”이 더 신뢰도 높은 신호입니다.
3) 변동성(ATR)과 밴드
- ATR 하락(일·4H·1H 공통): 변동성 수축 단계. 이후엔 확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 볼린저: 폭이 좁아지고 가격이 중단선 아래에서 움직임. 방향성 트리거가 나오면 밴드 확장에 동행하는 한쪽 추세가 나올 수 있습니다.
리스크: 수렴 구간에서는 “가짜 돌파”가 잦습니다. 시간 프레임 간 확인(1H→4H→일간 순)이 필요합니다.
4) 핵심 가격대(실전 레벨)
- 지지
- 176~178: 최근 바닥군 및 일간 하단밴드 부근
- 추가: 172 전후(이탈 시 하방 가속 우려)
- 저항
- 181~184: 1H/4H 중단선·단기 이평 밀집
- 186~188: 일간 20일선·상단 박스
- 193~196: 윗구간 공급대로 보이는 레벨
- 203~205: 상위 박스 상단/강저항 후보
레벨 논리: 현재가(180)가 박스 하단에 더 가깝습니다. 위로는 이평·밴드·수평저항이 연속 배치되어 “단계적 저항 테스트”가 예상됩니다.
5) 시나리오 3가지(각각의 진입·무효화·목표)
1) 박스 매매(역추세·평균회귀)
- 아이디어: 176~178 지지대 근처 분할매수 → 182~184 구간 분할청산
- 트리거: 1H에서 하단밴드 근처 장대 음봉 후 체력 회복형 양봉 + 거래량 반등
- 무효화: 4H 종가 기준 176 하향 이탈 시 손절
- 장점/위험: 명확한 손절선과 짧은 홀딩. 다만 가짜 하방 이탈에 주의.
2) 돌파 추세추종(보수적 롱)
- 아이디어: 181~184 구간 상향 돌파 후 지지 전환 확인(돌파-되돌림) 시 진입
- 트리거: 4H 종가 기준 184 상향 돌파 + 거래량 20평균 대비 1.5배 이상
- 목표: 188 → 193~196 순차 청산
- 무효화: 되돌림에서 182 이탈(4H 종가) 또는 178 이탈 시 전량 손절
- 장점/위험: 추세 동행. 다만 수렴장에서는 페이크 브레이크 위험 존재.
3) 하방 이탈 공략(보수적 숏/헤지)
- 아이디어: 176 확정 이탈 후 반등 실패(되돌림 저항) 시 진입
- 트리거: 4H 종가 176 하향 돌파, 다음 봉 176 재진입 실패
- 목표: 172 → 168
- 무효화: 178 재상회(4H 종가) 시 손절
- 장점/위험: 변동성 확장 하방에 탑승. 하지만 이 자산 특성상 급반등 스파이크 주의.
6) 자기 일관성 검증(3안 비교 → 최종 관점)
- 공통점: 세 안 모두 “수렴→확장 전조”와 “레벨 우선”에 근거. 단일 지표에 의존하지 않고 가격·거래량 확인을 요구합니다.
- 상충점: 1안(역추세)과 2·3안(추세추종)은 철학이 다릅니다. 현재 ATR 축소·RSI 중립·일간 횡보를 고려하면 “박스 매매”와 “확정적 돌파/이탈 추세추종” 둘 중 하나가 일관성 높습니다.
- 최종안: 기본은 1안(박스 매매, 176~178 매수→182~184 청산), 단 돌파 신호(4H 종가 184 상향 + 거래량 확대) 발생 시 2안으로 즉시 전환. 176 이탈 시 1안 무효, 3안 고려.
- 신뢰도: 중간. 이유는 상위 프레임(일간)에서 방향성 부재와 낮은 ATR 때문입니다.
7) 리스크 관리와 실행 체크리스트
- 포지션 크기: 계좌당 위험 0.5~1.0% 이내. 저가 코인 특성상 미끄러짐 대비.
- 주문: 수렴장에서는 시장가 추격보다 “돌파-되돌림 확인 후 진입” 또는 “지지대 한 틱 위 대기”가 유리.
- 확인 절차
1) 1H 신호 발생 → 4H 봉 마감으로 검증
2) 돌파/이탈 시 거래량이 20평균 대비 최소 1.5배?
3) 신호 직후 RSI가 50축 위/아래로 넘어가며 모멘텀 동조?
4) 실패 신호(가짜 돌파) 발생 시 즉시 축소/청산
8) 무엇이 관점을 바꾸나?
- 일간 종가가 185 이상 안착하고 거래량이 동반되면 단기 하락-횡보 시나리오 약화, 193~196 재테스트 가능성 상향.
- 반대로 176 붕괴 후 4H 되돌림 실패가 확인되면 하방 추세 전환 가능성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