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세무 당국, '업비트와 소규모 코인 발행사에 대한 조사 시작'

한국의 국세청(NTS)이 국내 시장을 선도하는 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에 대한 세무 조사를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 기관은 또한 다른 여러 "소규모" 익명의 토큰 발행사를 조사하고 있다고 합니다.
업비트 조사가 해외 거래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TV조선에 따르면, 이 조사에는 서울지방세무청의 국제거래조사국도 포함됩니다.

세무 기관은 2월 20일에 "현장 조사"로 조사를 시작했다고 해당 매체는 보도했습니다.
국제거래조사국은 해외 거래를 하는 회사와 "해외 세금 회피" 관련 사례에 대한 세무 조사를 전문으로 합니다.
이 조사는 이번 주 업비트에 두 번째 큰 타격을 입혔습니다. 국가 최고 금융 규제 기관인 금융위원회(FSC)는 이번 주에 약 70만 건의 고객 신원 확인(KYC) 관련 위반 사항을 조사한 후 업비트에 "제재"를 내릴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엄청난 벌금이 부과되나요?
전문가들은 KYC 관련 조사로 인해 업비트가 수백만 달러 상당의 벌금을 내야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두 조사가 연관되어 있는지는 현재로서는 불분명합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전국의 지방 세무 기관은 세금 회피를 근절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했습니다.
이러한 지방 차원의 조사에서 공무원들은 일부 시민이 암호화폐를 사용하여 "소득을 숨기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같은 지방 세무 공무원들은 이제 블록체인 분석 도구와 암호화폐 거래 데이터를 사용하여 세무 조사관으로부터 자금을 숨기려 한다고 생각하는 시민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당국은 '암호화폐 흐름'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원합니다.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는 2024 회계연도 3분기에 839억 원(약 5,850만 달러)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TV조선은 익명의 업계 관계자가 "업비트와 암호화폐를 발행하는 소규모 재단에 대한 동시 세무 조사"를 통해 조사관들이 "암호화폐 산업의 자금 흐름"에 대한 "더 포괄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모든 형태의 암호자산 출시는 한국법에 따라 여전히 불법입니다. 그러나 많은 회사가 해외 자회사와 파트너 회사를 통해 코인을 출시함으로써 이러한 법적 장벽을 극복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