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

서울남산국악당, 5년 만에 ‘남산컨템포러리-전통, 길을 묻다’ 재개… ‘Roots Hz 뿌리의 주파수’로 전통의 현재적 사용과 공명 실험

문화 | 2025-10-29 09:00 AM

(K-daily 뉴스)

서울남산국악당이 동시대 전통예술의 실험적 무대를 선보이는 기획 시리즈 ‘남산컨템포러리 - 전통, 길을 묻다’를 5년 만에 다시 선보인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이어진 이 시리즈는 ‘남산에 담는 이 시대의 예술’을 주제로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이 전통을 기반으로 한 실험적 창작을 선보여 왔다. 전통음악과 무용, 미디어아트, 연극, 연희, 의상, 사진 등 다양한 장르가 만나 경계를 넘는 협업을 시도하며 ‘전통의 현재성’을 실험하는 장으로 주목받았다.

그 부활의 첫 무대인 ‘Roots Hz 뿌리의 주파수’(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김서령)는 11월 13일(목)과 14일(금) 저녁 7시 30분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에서 공연된다.

◇ 10년 만의 재회, 세 예술가가 다시 묻는 전통의 의미

이번 작품은 2015년 국립국악원 금요공감 ‘여향’의 공연 무산 이후 10년 만에 다시 만나는 안무가 차진엽, 거문고 연주자 심은용, 소리꾼 권송희 세 예술가가 ‘지금의 전통’을 다시 묻는 작업이다.

‘전통은 지금, 여기에서 어떻게 관계할 수 있는가?’

‘Roots Hz’에서 전통은 박제된 유산이 아니라, 현재의 몸과 소리 속에서 여전히 살아 숨 쉬며 우리와 함께 진동하는 ‘살아있는 관계’다.

이 공연에서 시간은 선형적으로 흐르지 않는다. 과거를 현재로 계승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가 동시에 존재하며 서로를 사용(use)하는 상태다. 소리와 몸은 시간의 층위를 넘나들며, 뿌리가 아래로만 뻗지 않고 여러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리좀(rhizome)의 이미지로 확장된다.

‘Roots Hz’에서 ‘Roots(뿌리)’는 수직적 혈통이 아니라 가로로 퍼지며 서로 얽히고 진동하는 관계의 지도다. ‘Hz(헤르츠)’는 주파수의 단위를 넘어 전통을 향한 끊임없는 탐구의 태도이자 공명의 리듬을 상징한다.

기억이 아니라 관계로서의 전통, 보존이 아니라 공존으로서의 예술, 재현이 아니라 공명으로서의 몸. ‘Roots Hz’는 그 진동 속에서 전통이 다시 살아나는 현장을 만들어낸다.

◇ ‘다이얼로그 퍼포먼스’, 질문과 응답이 만드는 유기적 공명

세 아티스트는 각자의 매체(몸, 악기, 소리)를 넘어 ‘전통의 사용’에 대한 대화(Dialogue)를 펼쳐낸다. ‘Roots Hz’는 차진엽 안무가가 제안한 ‘다이얼로그 퍼포먼스’를 형식적 축으로 삼는다.

안무가 차진엽은 질문하는 움직임으로 매개자 역할을 하며, 거문고 심은용과 소리꾼 권송희가 각자의 매체로 깊이 있는 해체와 확장적 응답을 수행한다. 이들은 ‘전통의 사용’이라는 하나의 주제를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고도화된 3각 대화(Triangular Dialogue)를 펼쳐낸다.

차진엽은 전통의 계급적 위계를 해체하는 ‘신체의 민주성’에 주목해 몸을 관계의 매개로 삼아 서로 다른 리듬이 공명하는 장을 만든다. 심은용은 여백과 여음을 통해 ‘소리 이후의 울림’을 탐색하며, 전통의 울림을 내면의 성찰로 확장하는 음악적 시도를 펼친다. 권송희와 게스트 아티스트 정중엽은 판소리와 전자악기 아날로그 신시사이저 부클라를 결합해 민요의 공동체성, 판소리의 내러티브, 전자음악의 질감이 교차하는 혼성의 장을 펼친다, 인간의 숨결과 전자적 진동이 교차하는 이 협업은 기술과 전통이 공존하는 새로운 감각의 층위를 실험한다.

김서령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Roots Hz는 전통을 특정한 형식으로 재현하기보다, 그것이 지금-여기에서 어떻게 관계맺는지를 다시 묻는 무대”라며 “전통이 박제된 유산이 아닌, 관계의 언어로 살아 움직이며 동시대의 감각 속에서 새롭게 공명하는 순간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객은 이 무대를 통해 전통이 세 예술가의 몸, 악기, 소리를 관통하며 현재 속에서 어떻게 살아 숨 쉬고 새로운 의미의 울림을 만들어내는지를 깊이 있게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서울남산국악당은 ‘남산컨템포러리-전통, 길을 묻다’ 시리즈를 통해 전통예술이 동시대적 질문과 만나 경계를 허물고 무한히 확장되는 지점을 지속적으로 탐구하며, 전통과 동시대 예술이 만나는 선도적인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이어갈 예정이다.

‘Roots Hz 뿌리의 주파수’는 2025년 11월 13일(목)과 14일(금) 양일간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에서 공연되며, 예매는 서울남산·돈화문국악당 홈페이지(www.sgtt.kr)에서 가능하다. 공연 문의는 유선으로 할 수 있다.

컬처브릿지 서울남산국악당 소개

서울남산국악당은 2007년 전통공연예술의 진흥과 국악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건립된 국악 전문 공연장이다. 한국의 역사적 전통과 정체성을 담고 있는 전통 한옥의 미감을 살리기 위해 지상 1층의 한옥 건축물을 기반으로 공연장을 지하에 배치한 구조는 주변 자연환경과 어우러져 다른 공연장과는 차별되는 멋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지하 1층 공연장 로비와 연결된 선큰가든(sunken garden) ‘침상원’은 경복궁 교태전(交泰殿, 왕의 비거주 공간)의 느낌을 살린 계단식 정원으로 꾸며져 지하 공연장이지만 자연 채광과 아름다운 풍경을 선사한다. 2022년 9월 개관 15주년을 맞이해 진행된 극장 리모델링 이후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공연 관람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컬처브릿지 서울돈화문국악당 소개

서울돈화문국악당은 창덕궁 일대의 전통문화를 되살리기 위해 2016년 개관한 국악 전문 공연장이다. 서울시는 창덕궁 맞은편 주유소 부지를 매입해 이 공연장을 조성했으며, 현재 컬처브릿지가 위탁 운영 중이다. 공연장은 전통 한옥과 현대 건축 양식이 조화를 이루며, 자연 음향을 활용한 실내 공연장과 야외 국악마당으로 구성돼 있다. 관객은 이곳에서 연주자와 함께 호흡하며 우리 전통 음악의 매력을 체험할 수 있다.

문화 주요뉴스

‘마법천자문의 동생이 온다’ 아울북, 어린이 만화 ‘몽스터즈’ 출간
출판사 북이십일의 아동 교양 브랜드 아울북이 고전 소설 ‘서유기’를 바탕으로 한 신작 어린이 만화 ‘몽스터...
보편적극단의 새로운 해석으로 만나는 입센의 고전 ‘인형의집’, 현대적으로 재창작돼 10월 초연
한국 사회의 소수자성에 대해 이야기하는 보편적극단이 헨리크 입센의 고전 ‘인형의 집’을 현대적 시각으로 ...
제주 최초 모바일 게임과 이머시브 공연을 동시에 즐기는 투어 콘텐츠 성공적 론칭
‘저승차사와 원도심 유산투어’가 참가 예약 오픈 2일 만에 6회차 사전 참가 예약이 전회 매진되는 관심을 모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제2회 ‘마음건강 톡톡 페스티벌’ 성황리에 마쳐
대한신경정신의학회가 주최한 2025 정신건강의 날 기념 ‘마음건강 Talk Talk 페스티벌 - 내 친구를 소개합니다Ⅱ’...
최용기 클라리넷 독주회 ‘소리의 파편’ 개최
클라리네티스트 최용기가 11월 18일(화) 오후 7시 30분 일신홀에서 현대음악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무대를 펼친다. ...
연예 주요뉴스

야자캠프·영찍남 ‘틱톡 어워즈 2025’ 주요 부문 W노미네이트
숏폼 드라마 전문 레이블 STUDIO YAJA의 대표 계정 야자캠프(YAJA CAMP)와 영찍남(ycn_videographer)이 10월 25일 서울 고려대...
써모스, 프라이팬 체험형 쿠킹클래스 ‘류수영의 팬클럽’ 성료
써모스가 키친웨어 모델 류수영과 함께 지난 24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서 개최한 ‘류수영의 팬(PAN)클럽’ 쿠킹...
투썸플레이스, 홀리데이 시즌 ‘스초생’ 새 얼굴로 박규영 발탁
프리미엄 디저트 카페 투썸플레이스(대표이사 문영주)가 다가오는 겨울 시즌을 맞아 홀리데이 캠페인의 새로운 ...
하나금융그룹, G-DRAGON과 함께 한정판 카드 선보인다
하나금융그룹(회장 함영주)은 그룹 광고모델 G-DRAGON(지드래곤)이 직접 디자인에 참여해 하나금융그룹을 독창적으...
하전미2의 실물 미녀 김빵귤, 스트리머·인플루언서·틱톡을 넘어 여배우로 도약
‘하숙생이 전부 미녀입니다만?’ 시즌2(이하 하전미2)의 ‘실물 미녀’로 온·오프라인에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